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조영민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. 대통령 어제 반성하겠다고 한 지 얼마되지 않아 긴급한 일이 벌어졌죠? <br><br>네. 어제 오늘 급박한 일이 두 가지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보신대로 이주호 교육부 장관의 실언성 발언 그리고 오늘 대통령 의전비서관 자녀의 학폭 논란이었습니다. <br> <br>둘 다 대통령실 입장에서 큰 악재입니다. <br> <br>그래서였을까요. <br><br>악재를 정리하는 속도가 빨랐습니다. <br> <br>Q. 먼저 대통령 의전비서관 자녀 학교폭력 논란부터 보면요? <br><br>학교폭력 이슈가 이 정부 주요 국면마다 악재였습니다. <br> <br>정순신 전 국가수사본부장 아들 학폭 논란이 대표적입니다. <br> <br>때문에 또 한번 제기된 학폭 논란은 그만큼 파급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김승희 비서관 초등학교 3학년 딸이 2학년을 때려 전치 9주의 부상을 입혔다는 것, 그리고 이 과정에서 김 비서관 부인이 대통령실 고위직인 남편의 영향력을 활용하려 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. <br><br>Q. 사건 터지자마자 곧바로 정리했어요? <br><br>일단 의혹이 오늘 국정감사에서 제기되기까지 대통령실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오후 2시 해당 사안에 대한 공직기강조사를 지시했다고 발표한 뒤 4시간 뒤 당사자가 사의를 표했다는 사실을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내일 대통령의 사우디 카타르 순방이 시작됩니다.<br><br>대통령실은 이 사안을 오늘 매듭짓지 않고 떠나면 순방 기간 내내 이 이슈가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또 공직기강조사 이후 실제 대통령실 직원으로서의 영향력 행사 등 개입 정황이 드러날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가 없습니다. <br> <br>빠르게 사안을 매듭짓게 된 주요 이유라 하겠습니다. <br><br>Q. 이주호 장관도 발언이 나오자마자 반나절만에 대통령실이 바로 번복하고 질책했어요. 이례적인 속도인데요. <br><br>'자율전공 학생의 의대 진학'을 거론한 이주호 교육부 장관 인터뷰가 공개된 게 어제 오후 12시 반이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이 오후 6시 30분, 이례적으로 늦은 시간에 브리핑을 하며 즉각 부인했는데요. <br> <br>그 사이 대통령실이 교육부에게 사태를 바로잡으라는 지시도 최소 두 차례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><br>첫 지시에도 교육부가 곧바로 대응을 안 하자, 대통령실이 거듭 지시를 했고 교육부는 결국 장관 말을 뒤집는 입장을 내놨습니다.<br> <br>빠르게 진화를 하기도 했고, 대통령이 교육부를 질책했다는 사실까지도 공개를 했습니다. <br> <br>Q. 이렇게 발빠르게 대응한 이유가 있겠죠? <br><br>네. 그만큼 중대한 일이라고 본 거죠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축으로 보는 게 '공정'과 청년' 두 가지를 모두 건드린 중차대한 실수라고 본 것입니다. <br> <br>어제 이주호 장관 발언이 전해진 직후 청년들이 자주 이용하는 커뮤니티에는 비난의 글이 쏟아졌는데요. <br> <br>통상적으로 의대는 가장 높은 수준의 성적을 받아야만 갈 수 있지 않습니까? <br> <br>의대로 전과도 안 되는 다른 학과와는 달리 자율전공학생에게만 의대로 가는 길을 열어준다는 것이 불공정하다는 겁니다. <br> <br>커뮤니티에는 심지어 낮은 점수 받고 의대를 갈 수 있다는 건 아빠 찬스인 조국 전 장관 일가의 입시비리 의혹처럼 불공정한 거 아니냐는 말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얼마 전, "국민은 늘 무조건 옳다"는 대통령의 발언을 소개하기도 했었죠.<br><br>Q. 속도가 빠를 수밖에 없는 게 지금 대통령실 상황이 그렇잖아요? <br><br>대통령실은 최근 그야말로 '반성 모드' 아니겠습니까? <br> <br>오늘 대통령실에서는 "고춧가루를 뿌린 정도가 아니라 고춧가루통을 엎었다"라는 말까지 나왔습니다. <br> <br>학습 효과도 있을 겁니다. <br> <br>지난해 박순애 전 교육부 장관이 취학연령 만 5세 하향 정책을 얘기한 뒤 대통령 지지율은 20% 중반대까지 급락한 경우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오늘 나온 대통령 여론조사를 봐도,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후 30%를 간신히 지킨 상황입니다. <br> <br>어떻게든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의지가 강하지만, 연이은 악재에 힘든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